[버핏 연구소=이승윤 기자] 키움투자증권은 1일 덕산네오룩스(213420)에 대해 비발광소재 Black PDL의 사업 영역 확장에 따라 기업 가치가 재평가될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0만원으로 상향했다. 덕산네오룩스의 전일 종가는 7만2000원이다.
키움투자증권의 김소원 애널리스트는 “OLED 발광 소재만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중인 덕산네오룩스가 비발광 소재로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며 “수 년간 개발한 Black PDL 소재를 갤럭시Z폴드 3에 처음 탑재하기 시작했고 이를 통해 빛 투과율을 높여 패널의 소비전력을 약 25% 절감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또 “PDL(Pixel Defining Layer)이란 Red, Green, Blue 각 서브픽셀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분해주는 소재로 기존에는 폴리이미드를 사용한 투명색 PDL이 적용됐다”며 “기존 PDL은 일본의도 레이첨단소재 독점해 왔고 삼성디스플레이의 연간 PDL 사용 규모는 약 1500억원 수준”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Black PDL 개발을 통해 세계 최초로 편광판을 없앤 ‘무편광(POL-Less) OLED 패널’을 상용화할 수 있었다”며 “기존의 OLED 편광 판은 외부에서 패널로 들어오는 햇빛 등을 막아 야외시인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편광판을 통과하면 OLED 빛이 약 50% 가까이 감소하기 때문에 그만큼 더 높은 전류를 사용해 OLED가 더 밝은 빛을 내도록 하고 이는 OLED 수명에 부담을 주는 문제가 된다”며 “그러나 Black PDL이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흡수하여 편광판 역할을 대신할 뿐 아니라 기존 편광판이 초래했던 전력 소모 문제도 해결됐고 패널 두께 또한 축소됐다”고 밝혔다.
이어 “Black PDL이 기존의 OLED의 구조를 바꾼 혁신적인 소재라고 할 수 있다”며 “향후 Black PDL이 기존 PDL 시장을 지속 대체해 나갈 것이고 덕산네오룩스 또한 현재 적극적으로 Black PDL Capa를 증설 중에 있다”고 파악했다.
끝으로 “Black PDL의 높은 진입 장벽을 고려하면 기존 PDL 대비 단가가 높을 것이고 덕산네오룩스가 참여할 수 있는 잠재적 시장 규모는 연 1500~2000억원 이상이 될 것”이라며 “내년 갤럭시S22(가칭)으로도 Black PDL 적용이 확대될 것이고 갤럭시S22의 내년 1월 출시 가정 시 덕산네오룩스의 Black PDL도 올해 4분기부터 출하 확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덕산네오룩스는 덕산하이메탈의 AMOLED 유기물 재료 및 반도체 공정용 화학제품을 제조/판매한다.
덕산네오룩스. 최근 실적 [자료=네이버 증권]
lsy@buffettlab.co.kr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