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증권사에서 발표된 종목 가운데 LG(003550)의 목표주가 괴리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버핏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1주일 동안 발표된 증권사 리포트 가운데 LG의 목표주가 괴리율이 47.64%로 가장 높았다. 지난 2일 IBK투자증권의 김장원 연구원은 LG의 목표주가를 14만원으로 제시하며 전일 종가(7만3300원) 대비 47.64%의 괴리율을 기록했다.
구광모(왼쪽) LG 대표이사 회장, 권영수 LG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더밸류뉴스]
LG가 목표주가 괴리율 1위를 기록한 가운데 뉴트리(270870)(42.18%), 알에프텍(061040)(41.89%), 풀무원(017810)(41.61%) 등의 순이다.
LG는 그룹 지주회사로 IT서비스업(LG CNS), 부동산 종합서비스업(S&I), 경제경영 교육 및 자문업(LG경영개발원) 등을 영위한다.
목표주가 괴리율 상위 10선. [이미지=더밸류뉴스]
목표주가 괴리율이란 증권사 연구원이 제시한 목표주가와 현재 주가와의 차이를 백분율로 표시한 지표다. 보통 증권사의 목표주가와 현재 주가와의 차이(괴리율)가 크게 벌어지는 종목일수록 주식시장에서 저평가 상태로 볼 수 있다.
LG 최근 1년 주가 추이. [이미지=더밸류뉴스(네이버 증권 제공)]
LG는 올해 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3월 23일 52주 신저가(4만4600원)를 기록했다. 이후 꾸준하게 반등해 8월 11일 52주 신고가(9만4400원)를 갱신했다.
앞서 LG그룹은 지난달 26일 이사회를 통해 자회사 중 LG상사(001120)와 LG하우시스(108670) 등 5개사를 인적 분할해 신규 지주회사인 ‘LG신설지주(가칭)’를 설립하는 분할계획을 결의했다. 신설 지주는 LG상사, LG하우시스, LG MMA, 실리콘웍스(108320) 등의 지분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분할을 하는 목적은 사업 경쟁력 강화를 내세우면서 경영권 승계의 효과까지 기대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미 경영권이 승계된 LG가 분할하는 이유는 계열분리가 가장 주된 이유다. 따라서 내년 5월 분할이 되면 빠른 시일 내에 양 사의 최대주주간 지분 정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김장원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분할은 전통처럼 내려왔던 LG그룹의 계열분리라는 점에서 이해를 할 수 밖에 없다"며 "분할 전 LG 자산의 9% 정도 수준인 신설회사는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힘쓸 것으로 예상되는 등 분할 후 두 회사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결정이 기업가치를 위해 분할하는 것은 아니지만 분할 후 적극적인 경영이 기업가치를 높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사진=더밸류뉴스]
김 연구원은 “분할하는 기업이 그동안 성장성을 언급한 것도 아니고, 현 지주체제에서도 성장성을 제시할 여건이 충분하기에 분할 후 성장을 전망하는 것은 사실 기대감에 의한 것”이라며 “그럼에도 분할 결정을 받아들이는 것은 분할되는 기업의 가치가 분할 전 LG 가치에 기여도가 크지 않아 분할 후 존속법인인 LG에 영향이 미미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지주의 실제 이익이자 배당재원은 분할 후에도 훼손이 크지 않아 현 주주환원에 변함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LG는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도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분할 후 변화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LG 최근 실적. [이미지=더밸류뉴스]
LG의 올해 3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1조9561억원, 7671억원, 7617억원으로 전년비 16.76%, 115.84%, 123.44% 증가했다.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는데 이는 코로나19 영향에도 주요 자회사 실적이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제품 스프레드 확대에 따른 LG화학(051910)의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 LG전자(066570)의 가전사업 강세 및 LG디스플레이(034220)의 턴어라운드, LG유플러스(032640)의 전자결제사업매각에 따른 중단사업이익 반영 등이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 주요인이다.
아울러 주요 비상장자회사도 호조를 보였는데 LG CNS는 전략 사업 비중 확대로 영업이익(571억원)이 전년비 27% 증가했고, S&I코퍼레이션도 외부사업 비중 확대로 영업이익(395억원)이 49% 확대됐다.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