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가치투자 신봉자도 금융 사고에 말려들까? (윤진기 경남대 명예교수의 경제와 숫자 이야기)
  • 윤진기 명예교수
  • 등록 2020-12-07 18:24:03
  • 수정 2024-02-12 18:51:53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아는 분의 친구가 여윳돈 수억 원을 라임 펀드에 가입하여 손해를 보게 되어 소송을 준비하는데, 변호사를 소개해 달라는 부탁을 받고 변호사를 소개해 준 적이 있다. 은행권 DLF, 신라젠, 라임, 옵티머스 등 근년에 들어 금융 사고가 다른 때보다 많고, 그 문제된 금액이 적지 않아서, 사람들의 금융에 대한 인식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가치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필자는 가치투자자도 이런 금융 사고에 쉽게 연루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이 든다.


부동산 투자도 여의치 않고 은행 이자율이 1~2%정도밖에 되지 않는 저금리 시대에, 원금도 보장해주고, 수익률이 최대 연 5~25%라고 하면 돈 많은 사람들은 귀가 솔깃해 질 것이다. 그러나 이런 고수익을 보장하는 파생금융상품이나 펀드의 구성 원리를 잘 모르는 일반 사람들은 가치투자의 창시자로 알려진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교수가 말하는 미스터 마켓(Mr. Market)의 조울증 때문에 자신의 자산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 수가 없다. 또 안다고 하더라도 VIP대접을 해주면서 절대로 안전하다고 안심시키거나, 어느 돈 많은 기관에서 대량으로 투자했다는 좋은 소식을 전해주면 대체로 안심하고 가입하게 된다. 아는 분의 친구도 이런 케이스에 해당된다.


자료: 벤저민 그레이엄, 「현명한 투자자」(THE INTELLIGENT INVESTOR), http://www.yes24.com

주로 우리은행이 판매하여 2019년에 문제가 된 DLF(Derivative Linked Fund, 파생결합펀드)는 독일 10년물 국채금리가 -0.2% 이상이면 연 3~5% 수익을 보장하는 상품이었다. 하지만 -0.2%를 하회하면 0.1%포인트(p) 초과 하락할 때마다 원금의 20%씩 손실이 발생하고, 금리가 -0.7% 아래로 떨어지면 전액 손실을 보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언뜻 보면 안전하고 좋은 구성 같아 보이지만, 당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동 DLF 전체 판매잔액의 예상손실액이 95.1%(120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것은 원금 1266억 원이 1년도 채 되지 않아 62억 원으로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투자자들의 손실 규모는 최소 34.9%에서 최대 98.1%까지라고 알려져 있다.*


라임사태는 대략 피해자가 4000여 명, 피해규모가 1조 6700억 원에 이른다. 2019년 10월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던 펀드에 들어있던 주식 가격이 하락하면서 펀드런 위기를 맞아 결국 환매중단을 선택하였다. 재주 좋게 모자(母子)펀드를 구성하고, 자(子)펀드를 모(母)펀드에 가입시키고 자펀드를 사람들에게 팔아서 돈을 모으는 신출귀몰한 방법으로 재주를 부리던, 라임자산운용의 모펀드는 결국 반토막이 났고 자펀드 중 일부는 -100%를 초과하는 전액손실을 냈다.** 라임자산운용의 인공지능 펀드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100%를 초과하는 손실을 내서 돈을 한 푼도 돌려줄 수 없는 참사가 일어났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옵티머스자산운용은 증권사 등의 펀드 가입권유를 통해 투자자 2900여 명으로부터 1조 2000억 원(혹자는 1조5000억 원대 펀드 상품을 팔았다고 한다)을 모은 뒤, 안정적인 정부채권에 투자한다고 하면서 부실기업 채권에 투자했다가 5500억 원의 손실을 보게 되어 결국 환매중단 사태를 일으켰다.


DLF는 이름 그대로 파생상품(derivatives)이며,*** 원래 파생상품이란 기초자산(underlying asset)의 가치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것인데,**** 독일 10년물 국채는 시장의 상황에 따라 금리가 변하는 것으로 전문가도 좀처럼 그 향방을 가늠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 라임이나 옵티머스의 경우에는 펀드의 세부 구조가 일반 투자자들에게 공개되지 않는 ‘사모펀드’를 이용한 것이라서 투자자는 그 내부 사정을 알 수가 없게 되어 있었다.*****


반면에, 가치투자 신봉자들은 가치투자의 관점에서 금융시장을 바라보게 된다. 가치투자자들은 대체로 벤저민 그레이엄 교수의 이론에 따라 미스터 마켓의 조울증을 알고 있으며, 그래서 시장이 늘 변덕스럽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대체로 그레이엄 교수의 가르침에 따라서 기업의 실적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치 있는 기업을 찾아서 미스터 마켓의 조울증 증세가 심각하여 그 기업의 가격이 기업의 가치를 밑돌 때에만 투자를 한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


역사상 최고의 가치투자자로 알려져 있는 워렌 버핏(Warren Edward Buffett)은 여타 자산운용사들과 마찬가지로 외부 투자자의 돈을 받아 투자를 하였지만 철저하게 가치투자만 고집하여 그 자신은 당대 세계 최고 부자의 반열에 오르고, 투자자들을 모두 부자로 만들어 주었다. 가치투자자와 그렇고 그런 투자자의 차이가 확연하다. 가치투자는 이론 자체가 투자하는 기업의 가치를 꼼꼼하게 따지도록 되어 있고, 수익률도 높기 때문에 가치투자 신봉자들은 쉽게 금융 사고에 말려들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새로운 금융의 시대에는 가치투자를 학습하는 것이 가장 현명하고 지혜로운 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치투자만 가르치는 대학이 하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주석]

* 가치투자자의 눈으로 보면, 이러한 저수익 고위험의 DLF 구성은 성에 차지 않는다. 가치투자는 수익률이 대략 연 10~20% 정도에 이르며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 라임 사태에 대해서는 “라임사태, 누구나 알기 쉽게 간단 정리 7단계”, https://usefulinform.tistory.com/48, 2020.4.26.에서 비교적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다. 라임자산운용의 모자펀드 구조는 운용사가 수백 개의 자펀드를 관리하지 않고, 모펀드에 투자금을 몰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하지만, 일반 투자자가 천문학적 손실을 입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위험한 것이었다. 위의 사이트 참조.
***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파생금융상품 중에서 널리 알려진 것에는 ELS(Equity Linked Securities, 주가연계증권), ELF(Equity Linked Fund, 주가연계펀드), DLS(Derivative Linked Securities, 파생결합증권), DLF(Derivative Linked Fund, 파생결합펀드) 등 다양한 이름의 상품이 있다. 이 중에서 ELS는 기초자산이 주식인 반면, DLS는 채권, 원자재, 환율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발행한다. ELF는 주가연계증권(ELS)을 펀드로 만든 상품이고, DLF는 DLS를 펀드 형태로 만들어 포트폴리오에 넣은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상품은 기초자산을 무엇으로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 수익률과 위험성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수익률이 높아지면 위험성도 높아진다.
**** 기초자산 중에서 변동성이 큰 것으로 알려진 것은 HSCEI(Hang Seng China Enterprises Index,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 홍콩H지수 또는 홍콩항셍지수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다. 이 지수는 하도 변동성이 커서 HSCEI가 편입되기만 하면 ELS 수익률이 확 오르기 때문에 한국 증권사들이 금융폭탄의 뇌관에 가까운 HSCEI를 경쟁적으로 ELS상품에 편입한 적이 있다.
***** 라임의 펀드자산 운용에는 메자닌 금융(Mezzanine Financing), 파킹 거래(Parking Deal), TRS(Total Return Swap, 총수익스와프) 거래 등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금융거래 기법들이 사용되어 그 운영 내역을 일반투자자들이 잘 알 수가 없다.


ⓒ저작권은 저자에게 있습니다. 출처를 표시하면 언제든지 인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액토즈소프트, 게임엔터테인먼트주 저PER 1위... 2.39배 액토즈소프트(대표이사 구오하이빈. 052790)가 8월 게임엔터테인먼트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 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액토즈소프트는 8월 게임엔터테인먼트주 PER 2.39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더블유게임즈(192080)(6.28), 엠게임(058630)(6.43), 고스트스튜디오(950190)(6.59)가 뒤를 이었다.액토즈소프트는 지난 2분기 매출액 96억원, 영업손실 8억.
  2. [버핏 리포트] LG전자, 올해 실적 89조 전망...AI 산업 성장 기대-상상인 상상인증권이 23일 LG전자(066570)에 대해 글로벌 가전 시장 규모 감소에도 구독 서비스 매출 확대 및 충성 고객 확보로 H&A 사업부의 호실적이 예상되고 실러(Chiller), CRAC(Computer Room Air Conditioner) 등의 데이터센터 맞춤형 HVAC 솔루션 강화를 통해 AI 산업 성장의 수혜가 기대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14만원을 신규 제시했다. LG전자의 전...
  3. [버핏 리포트] 기아, EV3 출시 파워트레인 다변화...성장동력·수익성 확보 예상 기대감↑ -한투 한국투자증권은 23일 기아(000270)의 EV3 출시 이슈에 대해 글로벌 EV수요는 당분간 낮을 전망이지만, 파워트레인 다변화로 성장 동력과 수익성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8만원을 유지했다. 기아의 전일 종가는 10만2400원이다.김창호,최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아는 신작 EV3 모..
  4. [버핏 리포트] 엔씨소프트, 신작 라인업으로 실적 개선 노린다-한투 한국투자증권이 23일 엔씨소프트(036570)에 대해 신작 출시가 재개된다는 관점에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고, 최근 지속적인 주가 하락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아진 점도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요소라며 투자의견은 ‘중립’으로 유지했고, 목표 주가는 기존 30만원을 유지했다. 앤씨소프트의 전일 종가는 19만1700원이다. 정호윤 연구원.
  5. 다우기술, 증권주 고ROE+저PER+저PBR 1위 다우기술(대표이사 김윤덕. 023590)이 8월 증권주 고ROE+저PER+저PB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 다우기술은 8월 증권주 고ROE+저PER+저PBR 1위를 차지했으며, 한국금융지주(071050), 부국증권(001270), 신영증권(001720)이 뒤를 이었다.다우기술은 지난 1분기 매출액 2조7228억원, 영업이익 359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58%, 11.39% 감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