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물타기할 수 있는 주식을 사라
  • 윤진기 명예교수
  • 등록 2023-07-08 16:15:23
  • 수정 2024-07-10 10:14:29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항간에 주식투자를 할 경우에 이른바 물타기를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하여 논란이 많다. 물타기는 주식을 매수한 후에 주가가 떨어질 때 추가매수를 하여 매수의 평균단가를 낮추고 주식 수량을 더 늘리는 것을 말한다.

 

물타기를 한 경우에 다행히 주가가 올라가면 큰돈을 벌지만 주가가 지나치게 하락하면 자산이 물타기한 주식에 잠기게 되어 다른 좋은 주식을 사서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큰 기회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심지어는 멋모르고 물타기한 주식이 상장 폐지되어 낭패를 당하기도 한다.


저명한 투자자 중에 물타기를 강력하게 반대하는 사람이 윌리엄 오닐 (William J. O'neil)이다. 그는 “반드시 무조건 손실을 7~8%로 제한하라”고 한다.[1 ]


그는 “7~8%가 손실의 절대 한계라는 점을 명심하라. 주저 없이 팔아야 한다. 혹시 무슨 일이 생기지 않을까, 주가가 다시 오르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며칠을 더 기다려서는 절대 안 된다. 아니 그날 마감 시간까지 기다릴 필요도 없다.” 고 하면서 투자자들이 물타기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2]


반면에, 가치투자자로 불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물타기를 예사로 하고 있다. 그리고 물타기를 하는 방법도 예사롭지 않다.


캐나다의 워렌 버핏으로 알려진 피터 컨딜 (Peter Cundill, 1938~2011)은 북아메리카 최대의 철강 회사에 투자할 때 주당 15 달러에 매수를 시작했는데,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추가 매수를 하여 주가가 6달러로 하락할 때까지 버텼다. 대략 -70% 하락하였다. 컨딜이 최종 매도를 하였을 때 이 주식의 매수로 그는 복리수익률로 30%를 넘게 벌었다고 전해지는데, 첫 매수일로부터 대략 6년 정도 걸렸다.[3]


이와 같이 가치투자해서 물타기를 해도, 예기치 않게 -70%까지 하락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대부분 투자자의 경우 투자자금이 바닥이 날 것이다. 개인투자자들은 초기에 가치투자 이론을 대충 배우고 함부로 물타기를 하여 큰 손해를 보게 되면 가치투자라는 말을 듣는 것조차 싫어하게 된다. 그래서 다시 추세 추종자로 돌아가게 된다. (가치투자의 큰 비밀을 체험하지 못하고 떠나게 되어 아쉬움이 있다)


컨딜은 똑똑하게도 함께 물타기를 해줄 친구를 구해서 자금줄이 마르지 않게 하였다. 사실은 컨딜이 운영하는 가치투자 펀드의 자산만으로도 충분히 뒷감당을 할 수 있었다. 전체 투자금액이 운영 펀드의 4% 정도에 불과하였기 때문이다. 그래도 생각을 같이하는 친구가 함께 물타기를 해주면 위로가 된다.


펀드를 운용하는 컨딜과는 달리, 개인투자자들은 -70%까지 빠지는 주식에 물타기를 하면 회복하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견디기 어렵다. 그래서 개인투자자들은 가능하면 최대한 저가에 있으면서도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을 골라서 물타기를 해야 마음이 편하다.


주식농부로 알려진 투자자 박영옥은 “나는 투자하는 기업의 주가가 떨어질 때마다 1~2년 동안 꾸준히 매수하지만, 매도는 자주 하지 않는다.” 고 말한다.[4] 언뜻 보면 그는 물타기 선수로 보인다.


자료: 《주식투자 절대원칙》 (2022)
http://www.yes24.com/ (2023.07.06. 검색)

놀랍게도 그의 투자수익률은, 필자가 아는 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을 가지고 있다. 수학과 통계로 주식에 투자하는 수학교수 짐 사이먼스 (James Harris Simons)의 30년 평균 투자수익률 대략 66%를 제외하면,[5] 박영옥이 대략 10년 이상 연 투자수익률이 50% 이상으로[6] 투자수익률이 세계에서 최고로 높은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물타기를 잘하는 투자자가 시장에서 큰돈을 벌 수 있나?”하는 의문이 생긴다. 필자가 관찰한 바로는 대체로 그렇다.


이유는 간단하다. 가치투자 이론 자체가 물타기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치투자 이론에서는 대략적인 내재가치가 구해지면 그것을 토대로 안전마진을 계산하고, 일정한 안전마진이 확보되면 매수를 하기 시작하고, 주가가 하락하여 안전마진이 커지면 추가매수를 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다만 이렇게 하려면 간도 커야 하고, 예비되어 있는 투자자금도 넉넉해야 한다.


물타기의 성공 여부는 물타기를 해도 되는 기업을 고르는 안목에 달려있다. 기업의 내재가치를 계산하는 공식은 수도 없이 널려 있지만, 딱히 잘 들어맞지는 않는다. 


기업의 성장주기에 투자해야 한다고 하는 박영옥의 물타기 방법은 독특하다. “2~3년 동안 꾸준히 관찰하며 분석한 결과 반드시 성장한다는 확신이 든다. 이렇게 심혈을 기울여 고른 기업의 주가가 떨어진다. 얼마나 좋은 매수 타이밍인가? 시장의 타이밍은 맞힐 수 없지만 내가 투자할 기업을 매수할 타이밍은 맞출 수 있다. 열심히 공부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주가가 떨어질 때 살 수 있으려면, 담력 결단 용기가 필요하다. 실제로 해보면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잘 알게 될 것이다.”[7]


오랫동안 시장에서 온갖 풍파를 경험하고 일가를 이룬 대가와는 달리, 초보자들은 이 말이 잘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무턱대고 따라하다가 큰 낭패를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그의 투자철학을 기술하고 있는 《주식 농부처럼 투자하라》 와 《주식투자 절대법칙》 을 여러 번 읽고 사색해보면 그의 말이 무슨 말인지 대체로 알 수 있을 것이다.[8 ] 


압구정 교주로 소문난 조문원 대표도 손절할 주식을 샀다는 것은 처음부터 주식을 잘못 고른 것이라고 한다. 그는 자신이 주식을 매수하고 나면 주가가 내려가기만 빈다고 한다. [9 ] 주가가 내려가면 더 싼 값에 더 많은 주식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경지에 오른 가치투자자들은 윌리엄 오닐과 정반대로 생각한다. 그것은 시장을 보는 관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윌리엄 오닐은 “물타기를 해야 하나?” 하는 문제를 거론하면서, 시장은 오로지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 움직인다고 말한다.[10] 반면에, 가치투자자들은 기업이 계속 돈을 잘 벌고 성장하면 주가가 올라간다고 생각한다.


PEG 연구에 재미를 붙인 필자는 PEG 분석을 통해서 물타기할 수 있는 기업을 찾아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관심이 많다. 많은 기업의 시계열 데이터를 가지고 살펴보면, PEG 분석은 안심하고 물타기할 기업을 찾아내는데 유용하다. PEG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물타기할 수 있는 기업인지 아닌지 대체로 확연히 감이 온다. 저평가된 기업의 비즈니스모델과 이익의 질을 분석하여 그 기업이 미래에도 계속 돈을 잘 벌지를 대충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물타기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정도의 실력자가 되면 시장에서 발생하는 온갖 잡음으로부터 자유로워 질 것이다. 물타기는 단순한 투자방법의 문제가 아니고 심오한 투자철학의 문제이다.

 

[주석]
1. 윌리엄 오닐 저, 박정태 역,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How To Make Money In Stocks: A Winning System in Good Times or Bad), 굿모닝북스, 2012, 307면.
2. 위의 책, 309면.
3. 자세한 것은 크리스토퍼 리소길(Christopher Risso-Gil) 저, 김상우 역, 《안전마진》 (There’s Always Something to Do), 부크온, 2014, 100-105면 참조.
4. 박영옥, 《주식투자 절대원칙》, ㈜센시오, 2022, 204-205면.
5. 그레고리 주커만(Gregory Zuckerman) 저, 문직섭 역, 시장을 풀어낸 수학자, ㈜로크미디어, 2021, 464면.
6. 박영옥, 앞의 책, 앞 표지 뒷면.
7. 위의 책, 203-204면.
8. 이 두 권의 책에는 정량분석에 관한 자세한 언급이 거의 없다. 그러나 박영옥은 대학 3학년 때 지도교수의 권유로 증권분석사 준비를 하여 시험에 합격하였고, 그 후 당시 현대투자연구소에서 분석보고서를 쓰면서 주식투자 업계에 입문하여 잔뼈가 굵었다는 사실을 독자들이 간과하면 안 될 것이다. 필자는 위 두 권의 책에서 그가 정량분석을 넘어서는 경지의 높은 수준의 투자철학을 전개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눈을 감고도 정량분석을 할 수 있을 만큼 정량분석 기초 지식이 탄탄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초보 투자자들은 재무분석을 비롯한 각종 금융 데이터 분석 지식을 별도로 공부해야 그의 투자철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9. 조문원, “가치투자란 나에게 무엇인가?” 강의동영상, 46:50~47:38 부분, 버핏연구소> 투자교육> 온라인 강의실> 투자의지혜, https://buffettlab.co.kr/wordpress/online-vod2/ (2023.07.07. 검색)
10. 윌리엄 오닐, 앞의 책, 316 면.

 

저작권자 Ⓒ 윤진기.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출처를 표시하여 내용을 인용할 수 있습니다.

help@nextmobile.kr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 제일기획, 탄탄한 기초로 시장 상회하는 이익 개선 전망-삼성 삼성증권은 28일 제일기획(030000)에 대해 탄탄한 기초 체력을 기반으로 올해도 시장을 상회하는 이익 개선이 전망돼 올해 1분기에는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챙길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3500원을 유지했다. 제일기획의 전일종가는 1만7950원이다.강영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제일기획의 1분기 매출액은 4157억원(YoY +6.4%), 영업이...
  2. [버핏 리포트] 롯데케미칼, 1Q 적자폭 감소 예상...주가 변동성 확대 경계해야 -대신 대신증권이 롯데케미칼(011170)에 대해 유동성 리스크 감소에 따른 밸류에이션 할인 요소 축소는 긍정적이지만, 동북아 역내 설비 폐쇄를 능가하는 NCC 증설 물량 유입으로 수급 개선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해 1분기 이후 실적 개선 정도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를 경계해야할 필요가 있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9만원으로 하향했다. .
  3. [이슈 체크] 반도체, 니토 보세키도 증설하는 이유 KB증권 이의진. 2025년 3월 28일.CCL(Copper Clad Laminate, 동박적층판)은 PCB의 핵심 소재로 유리섬유, 수지, 충진재 등으로 구성된 절연층에 동박을 적층한 제품이다. 이 중 유리섬유는 CCL의 열팽창을 제어해 열적 안적성을 높이고, 낮은 유전율의 소재를 사용하여 고주파 수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CCL의 AI 데이터센터向 수요가 증가하..
  4. [버핏 리포트] 포스코홀딩스, 美 보호무역·中 감산 변수…철강 시황 반등 기대 - 삼성 삼성증권이 POSCO홀딩스(005490)에 대해 중국과 미국의 철강 수요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크지만, 한국의 보호무역 강화와 중국의 감산 가능성이 철강 시황 회복을 기대하게 만든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4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POSCO홀딩스의 전일 종가는 30만500원이다.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철강 수요...
  5. [환율] 위안-달러 7.2677위안 … 0.03%↑ [버핏연구소] 28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위안/달러 환율은 7.2677위안(으)로, 전일비 0.03% 상승세를 보였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