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올리브영”의 확장이 CJ 그룹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까?(홍순화의 주식 톡톡)
  • 홍순화
  • 등록 2017-04-12 09:29:22
  • 수정 2024-02-13 18:07:40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올리브영”의 확장이 CJ 그룹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까?


최근 벗꽃 구경을 위해 가까운 남산타워를 찾았습니다. 타워 1층에 도착하니 눈에 띄는 매장이 보였습니다. 관광객이 많이 다니는 곳에는 어디나 위치한 “올리브영”이었습니다. 저도 이따금씩 이용하는 고객인 만큼 반가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어디서나 “올리브영” 매장을 찾기가 쉬워진 것 같습니다.


올리브영 매장 전경 [사진=구글 캡쳐]

올리브영의 확산은 H&B(Health&Beauty)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지 또한 올리브영을 운영하는 기업이 궁금해 졌습니다.


조사해 보니 H&B 시장 규모는 2013년 이래 2.5배의 성장을 이뤄 1조 5000억 원 수준의 성장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독보적 1위가 CJ 올리브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올리브영이었습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현재 올리브영의 전국 매장 수는 지난해 기준 790 곳으로 GS리테일의 왓슨스(128개), 롯데쇼핑의 롭스(90개)와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합니다. 올리브영은1000호점 개점이 멀지 않은 듯 보입니다.


올리브영은 최근 제주도에 ‘제주탑동점’을 개장했습니다. 쇼핑뿐 아니라 아티스트들의 예술 작품을 감상하고, 다양한 문화 강좌를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꾸몄습니다. 올르브영은 지역마다 차별화를 둬 특색에 맞는 매장으로 꾸며 고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올리브영의 외형적 확장과 변화를 두고 ‘그룹 차원의 전략’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현재 올리브영을 운영하는 회사는 ‘CJ올리브네트웍스’로, 2014년 12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CJ시스템즈와 기존 올리브영을 운영하던 CJ올리브영이 합병해 탄생했습니다.


올리브영의 주식은 CJ 그룹이 55.01%의 지분을 갖고 있으며,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장남 이선호 과장(17.97%•31만7627주)과 장녀 이경후 상무(6.91%•12만5960주)가 보유하고 있고, 조카 2명(이소혜, 이호준)도 각각 2.18%(3만9736주)를 갖고 있습니다.


CJ올리브네트웍스 지분 구조. [이미지=인베스트조선]

오너 3세들은 경영권 승계를 위해 주력 계열사에 대한 지분 보유율을 높여야 하는데 아직 상장하지 않은 CJ올리브테트웍스가 기업가치를 키운다면 추후 CJ㈜와 합병하는 식으로 지주사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해석입니다.


따라서 CJ 올리브영은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한 공격적인 경영을 계속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현 정부가 환율 하락과 인플레이션 정책을 계속 추진한다면 CJ그룹은 내수활성화 정책에서 가장 큰 수혜주가 될 것으로 시장에서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편 무분별한 매장 확장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도 있습니다. 특정 지역에 매장이 너무 밀집할 경우 상권이 겹쳐 가맹점에 피해가 갈 수 있다는 가능성인데 올리브영은 가맹점보다 직영점 위주의 점포 확대에 주력하고 있고 온라인시장 확대에 힘쓰고 있다고 합니다.


CJ그룹의 내적인 필요성과 외적인 시장 환경 조성이 CJ기업가치 향상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됩니다.


좋은 투자 기회를 기대하며 올리브영과 관련된 CJ 그룹의 현재 주가와 외국인 매매 동향을 살펴봤습니다.


[기타 자료]


CJ-4


CJ-1

CJ-3

CJ-5

CJ-2


help@nextmobile.kr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 제일기획, 탄탄한 기초로 시장 상회하는 이익 개선 전망-삼성 삼성증권은 28일 제일기획(030000)에 대해 탄탄한 기초 체력을 기반으로 올해도 시장을 상회하는 이익 개선이 전망돼 올해 1분기에는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챙길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3500원을 유지했다. 제일기획의 전일종가는 1만7950원이다.강영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제일기획의 1분기 매출액은 4157억원(YoY +6.4%), 영업이...
  2. [이슈 체크] 반도체, 니토 보세키도 증설하는 이유 KB증권 이의진. 2025년 3월 28일.CCL(Copper Clad Laminate, 동박적층판)은 PCB의 핵심 소재로 유리섬유, 수지, 충진재 등으로 구성된 절연층에 동박을 적층한 제품이다. 이 중 유리섬유는 CCL의 열팽창을 제어해 열적 안적성을 높이고, 낮은 유전율의 소재를 사용하여 고주파 수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CCL의 AI 데이터센터向 수요가 증가하..
  3. [버핏 리포트] 롯데케미칼, 1Q 적자폭 감소 예상...주가 변동성 확대 경계해야 -대신 대신증권이 롯데케미칼(011170)에 대해 유동성 리스크 감소에 따른 밸류에이션 할인 요소 축소는 긍정적이지만, 동북아 역내 설비 폐쇄를 능가하는 NCC 증설 물량 유입으로 수급 개선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해 1분기 이후 실적 개선 정도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를 경계해야할 필요가 있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9만원으로 하향했다. .
  4. [버핏 리포트] 포스코홀딩스, 美 보호무역·中 감산 변수…철강 시황 반등 기대 - 삼성 삼성증권이 POSCO홀딩스(005490)에 대해 중국과 미국의 철강 수요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크지만, 한국의 보호무역 강화와 중국의 감산 가능성이 철강 시황 회복을 기대하게 만든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4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POSCO홀딩스의 전일 종가는 30만500원이다.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철강 수요...
  5. [환율] 위안-달러 7.2677위안 … 0.03%↑ [버핏연구소] 28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위안/달러 환율은 7.2677위안(으)로, 전일비 0.03% 상승세를 보였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