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당기 유보율 개념을 사용하자(윤진기 교수의 경제와 숫자 이야기)
  • 윤진기 교수
  • 등록 2018-05-14 07:57:46
  • 수정 2024-02-13 09:02:27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유보율은 누적 개념이기 때문에 오래되고 비즈니스 모델이 좋은 기업의 경우에 높게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유보율은 사내유보율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정작 일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한 회계연도 동안 얻은 당기순이익을 배당을 하고 회사 내에 유보하는 비율을 지칭하는 적절한 용어가 보이지 않는다.


순이익유보율(earnings retention ratio)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것은 ‘당기순이익 중 배당을 하지 않고 유보하는 금액’의 당기순이익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이것도 실무에서는 간혹 내부유보율 또는 사내유보율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래서 지금까지는 유보율 개념을 문맥에 따라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판단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유보율과 순이익유보율은 아래 공식으로 보는 바와 같이 전혀 다르다.

 

유보율 = (이익잉여금+자본잉여금)/자본금×100(%)

이익잉여금 = 회사 창립 시부터 발생한 당기순이익의 누적액-모든 배당금지급액의 합계액

순이익유보율 = (당기순이익-배당금)/당기순이익×100(%)=100(%)-배당성향

 

여기서 배당성향이란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당기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준다. 배당성향이 30%라면 순이익 중 30%를 배당했다는 뜻이다.

 

배당성향 = (배당금총액/당기순이익) × 100(%)

 

배당성향이 높은 기업은, 보통 안정적으로 순이익을 꾸준히 내고 있는 성숙기업이라 볼 수 있고, 투자금 마련이 우선적인 성장기업은 배당성향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 기업의 배당정책은 기업마다 다르다.

사람에 따라 순이익유보율을 사내유보율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지만, 사내유보율을 유보율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이상 이것은 혼란을 초래한다. 공식으로 나타내면 금방 알 수 있다.

 

사내유보율(순이익유보율) = (당기순이익-배당금)/당기순이익×100(%) = 100(%)-배당성향

사내유보율(유보율) = (이익잉여금+자본잉여금)/자본금×100(%)

 

양자는 내용이 전혀 다르다. 사내유보율은 유보율과 구분하기 위하여 유보율에 ‘사내’를 붙여 사용하는 것으로 추론해볼 수도 있지만, 사내유보율이 유보율과 같은 것으로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어서 문제이다. 학문적으로는 논문에서 ‘단기사내유보이익’ 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렇다고 사내유보율과 유보율이 혼용되는 상황에서 단기사내이익유보율을 사내유보율이라고 하기는 곤란하다. 장기유보율과 단기유보율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영어 earnings retention ratio 또는 retention ratio를  ‘당기유보율’이라고 통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래 ‘순이익유보율’의 개념은 표현상 장·단기 구분이 되지 않으므로 여전히 용어상의 혼란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 외 상황에 따라서 ‘당기사내유보율’, ‘당기내부유보율’ 이라는 용어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에 유보율이나 사내유보율을 누적 개념으로 사용하고, 당기유보율을 한 회계연도에 당기순이익 중 기업의 재투자를 위해 회사 내에 얼마만큼의 금액을 남겼는지 보여주는 비율 지표로 사용한다면, 불필요한 오해와 동일용어가 전혀 다른 두 개의 의미를 표현하는 용어상의 불편함이 사라질 것이다. 실무에서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이러한 구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작권은 저자에게 있습니다.

sunhwa771@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제이에스코퍼레이션, 섬유,의류,신발,호화품주 저PER 1위... 1.4배 제이에스코퍼레이션(회장 홍재성. 194370)이 3월 섬유,의류,신발,호화품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이에스코퍼레이션이 3월 섬유,의류,신발,호화품주 PER 1.4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영원무역홀딩스(009970)(3.77), 한세예스24홀딩스(016450)(4.3), 신성통상(005390)(4.41)가 뒤를 이었다.제이에스코퍼레이션은 지난 4분기 매출...
  2. [버핏 리포트] 이마트, 봄이 오고 있다...영업이익 반등 '신호탄' – NH NH투자증권은 14일 이마트(139480)에 대해 장기간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할인점 매출이 회복되면서  수익성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는 11만원으로 상향했다. 이마트의 전일 종가는 8만3200원이다.주영훈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할인점 사업의 장기 매출 침체, 자회사들 손익 악화로 인한 연결 영업이...
  3. [버핏 리포트] 카카오, AI 관련 모멘텀 부재 한 번에 해결 목표주가↑-NH NH투자증권은 14일 카카오(035720)에 대해 Open AI와의 제휴를 통해 트래픽 증가 및 구독 모델 도입 가능성이 있고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5만3000원으로 상향했다. 카카오의 전일종가는 4만3150원이다.NH투자증권은 카카오의 4분기 매출액은 1조9570억원(+21.3% YoY), 영업손익...
  4. [버핏 리포트]셀트리온, 분기 지날수록 '매출총이익률' 개선 전망-한국투자 한국투자증권이 셀트리온(068270)에 대해 단기적으로 미국 정책 불확실성 속 미국에 의약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투자 센티먼트가 약화됐지만 중장기적으로 의료비 지출 감소를 목표하는 미국 정부는 바이오시밀러 처방 확대 기조를 이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 합병 기대 효과로 유럽 내 바이오시밀러 입찰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고 성과가 매.
  5. [버핏 리포트] 제일기획, 탄탄한 기초로 시장 상회하는 이익 개선 전망-삼성 삼성증권은 28일 제일기획(030000)에 대해 탄탄한 기초 체력을 기반으로 올해도 시장을 상회하는 이익 개선이 전망돼 올해 1분기에는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챙길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3500원을 유지했다. 제일기획의 전일종가는 1만7950원이다.강영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제일기획의 1분기 매출액은 4157억원(YoY +6.4%), 영업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